현실의 텅빈 폐부


‘비어있음은 내 작업의 철학적 근원이기도 하고 소재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기도 해요. 처음에 사진을 구조물에 덧붙일 때도 결국은 우리가 보는 건 가짜고 비어있다라는 말을 했는데, 실제로 투명한 재료로 바뀌고 구조가 없어지면서 이미지 자체가 구조가 됐죠(고명근)’

초현실주의와 다르게 상황주의는 현실을 우회하여 현실 자체의 텅빈 폐부를 파고든다. 무언가 의미의 저장고가 있는마냥 가득바득한 환상이 아니라, 현실이 가진 단단한 프레임을 깨트리며 텅빈 실재에 접근하는 반反현실의 상황을 제안한다.

그래서 그들은 무언가 단단한 형체를 완성하기보다는 다른 시선, 다른 감각, 다른 반추를 자극하는 상황들을 제안하려 노력한다. 그리고 현실을 충실히 재현하기 보다는, 현실이 무너질 수 있는 가능성에 탐닉한다. 이때 익숙한 오브제를 활용해 익숙하지 않은 현실 위에 중첩시키며, 사물에 대한 꽉찬 이해에 제동을 가하며 텅빈 사색의 가능성으로 안내한다.



따라서 사진을 구조물에 덧붙인 것(고명근作)은 입체적 리얼리티를 더하기 위함이 아니라, 사진이 가진 재현의 기능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에서 출발한 것일테다. 그리고 자연의 지면에 거울을 놓은 것(Geoffroy Hauwen作)은 마그리트식 몽상을 전하기 위함이 아닐 것이다. 그것은 거울과 사진의 서로 다른 현실을 중첩시켜 우리가 풍경 사진에 기대하는 초과현실에 의문을 제기하기 위함일 것이다.

(C) 모든 이미지는 원창작자의 고유한 저작물입니다